‘평창 활용법’, 동계올림픽 교과서 되다

‘3선 강원지사’ 탄생시킨 ‘최문순’의 정책 보기

머니투데이 더리더 임윤희 기자 2020.02.03 11:19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청소년대회까지 유치, 경제효과 기대… ‘강원형 일자리’ 창출도 본보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공약은 도민과의 약속인 만큼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자주 하는 말이다. 그의 공언대로 최 지사는 민선 6기 메니페스토 약속대상 선거공보분야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민선 6기 전국 시·도지사 공약실천계획서평가 결과에선 최우수등급인 SA등급에 선정되기도 했다. <더리더>는 최 지사를 ‘3선’으로 등극시킨 정책들을 살펴봤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산·2024 겨울청소년올림픽 유치 성공까지
최 지사의 가장 큰 업적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다. 민선 1기부터 꿈꿔온 강원도의 꿈을 현실로 만들었다.
역대 동계올림픽 사상 최다인 92개국 2920여 명의 선수가 참가하면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평창올림픽은 교통망을 비롯한 각종 인프라와 남북 관계 개선의 물꼬를 텄다. 

올림픽 시설에 대한 사후 활용 문제를 놓고 논란이 많았지만 본동 건물에 올림픽 기념관이 들어선다. 나머지 부지에는 평화 테마파크 조성사업이 추진된다. 국제방송센터(IBC) 건물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국립중앙도서관 산하 국가문헌보존관으로, 조직위원회 사무실은 대한체육회에서 동계훈련센터로 활용할 계획이다. 

강원은 평창올림픽 이후 올림픽 유산(레거시) 활용에도 적극적이었다. 지난해에는 평창동계올림픽 1주년을 기념해 레거시 페스티벌인 ‘冬冬통통 스노우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평창(G+1) & 베이징(G-3) 스포츠 페스티벌, 평창(G+1) & 도쿄(G-1) 커넥티드 페스티벌, 외국인 스키 페스티벌 등 7개 테마에 20개국 5000여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찾았다. 관광객들은 올림픽 시설과 한류, 눈을 주제로 축제를 즐겼다. 

도는 특히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 유치에 성공하면서 올림픽 유산 활용에 대한 교본을 만들어냈다. IOC가 강원도를 택한 가장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국내뿐 아니라 세계 올림픽 참가자들이 강원도를 전지훈련지로 삼을 것으로 예상돼 다양한 경제 유발 효과가 예상된다. 

강원도가 올림픽으로 얻은 가장 큰 수혜는 교통 인프라 획득에 있다. KTX 노선으로 서울과 평창이 1시간대로 가까워졌다. 거기에 올림픽 개최 도시라는 도민들의 자부심이 관광산업의 질적인 성장을 견인했다. 

도는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까지 만 4년도 남지 않은 만큼 ‘대회조직위원회’를 조속히 설립하고 대회 준비에 나섰다.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경기장 등 유무형의 유산을 활용, 대회를 효율적으로 치를 계획이다.
▲2024 동계청소년올림픽 강원도 유치가 확정됐다.

◇강원형 일자리 정책=중소기업+상생지
강원도는 지역 전통산업인 농림·어업·광업 위주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 산업의 발달이 미비하다. 2차 산업 비중은 24%로 전국평균인 37%에 비해 한참 못 미친다. 도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이오, 의료기기 등을 전략산업으로 특화시켰다. 하지만 전체 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서비스업(70.1%)에 편중돼 있어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

최 지사는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최첨단 에너지 산업과 의료기기, 플라즈마, 나노 바이오, 비철금속산업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 철원 플라즈마 나노융합사업, 태백을 중심으로 한 ‘석탄활용 첨단 플라즈마 청정 발전’도 미래에너지산업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플라즈마 기술 및 관련산업은 강원도가 2006년부터 ‘4대 최첨단 전략산업’에 포함시켜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원을 거점으로 육성했다. 이 외에도 평창올림픽 개최 이후엔 관광·서비스 분야도 활기를 띠고 있다. 

지표를 보면 최 지사의 ‘일자리 정책’은 실효를 거두고 있다. 강원지방통계지청이 발표한 ‘2019년 8월 강원도 고용동향’을 보면 도내 취업자 수는 지난해 85만1000명으로 1998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가장 많은 취업자 수를 기록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왼쪽)가 e-모빌리티 전기차량 구매협약서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9년 8월 기준 고용률은 65.3%로 전년대비 2.2%포인트 증가했으며 7월보다는 0.3%포인트 상승해 월별 고용률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고용률은 전국 평균 61.4%보다 3.9%포인트 높은 수치다. 

2011년 이후 강원도 고용률(취업자) 증감을 보면 상승 폭이 더욱 눈에 띈다. 강원지역 고용률은 2011년 56.2%로 전국 평균(59.3%)에 크게 못 미쳤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상승해 2019년 8월 전국 평균을 3.9%포인트 앞섰다. 고용률 증가부
분에서는 전국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최 지사는 ‘강원형 일자리 정책’으로 또 한번 일자리 확충에 나섰다. 광주와 구미에 이어 3번째 상생형 일자리 사업이다.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 중심 상생모델을 구상했다. 초소형 전기차 생산단지를 기반으로 중소기업 조합을 결성해 고용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2023년까지 신규 일자리 580개를 만드는 게 목표다. 첫 프로젝트로 2020년 초소형 전기차를 출시한다.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강원도에 4차 산업혁명 기반을 마련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2020년 전기차 생산을 앞두고 있고, 생산단지의 관련 중소 기업들과 상생 협약을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 관련 기업이 본사를 이전하거나 신규 설립에 들어가면 신규 채용으로 경제 유발 효과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강원 정선군 옛 동원탄좌 부지를 찾은 강원랜드 탄광문화공원 개발 자문위원들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강원도의 아킬레스건 폐광지 회생으로 제2의 부흥 노린다
1989년 석탄산업합리화 정책 이후 폐광이 늘어나면서 지역경제가 붕괴되기 시작했다. 정부는 1995년 ‘폐광지역 개발지원에 관한 특별법’(폐특법)을 제정했다. 내국인 출입이 가능한 강원랜드도 이 법을 근거로 2000년 설립됐다.

폐특법 제정 이후 1997년부터 2017년까지 20년 동안 폐광지역 대체산업 육성 등에 투자된 공공자금은 3조501억원에 이르는 천문학적인 수치다. 하지만 태백 오투리조트(4403억원)와 영월 동강시스타(1538억원), 삼척 하이원추추파크(753억원) 등 폐광지역 대체산업은 모조리 실패했다. 

대부분 민간기업에 매각되거나 회생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대체산업 육성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폐광지는 소멸 위기다. 강원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강원도 내 4개 폐광지 인구는 19만5460명(2016년 기준)으로 석탄산업 합리화 조처 이전인 1988년(44만명)에 견줘 55.7%나 줄었다. 

2011년 취임한 최 지사는 그간의 실패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한다. 접근성과 적은 인구규모로 인해 경제성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경제성이 떨어지더라도 국비를 투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폐특법 시효 종료(2025년)가 불과 5년 앞으로 다가왔다.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폐광지역 자립기반 마련을 위해 연내 170억원이 투입돼 폐광지역 중장기 발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폐광지역 진흥지구 내 4개 시군인 태백·삼척·정선·영월을 대상으로 시군별 핵심 콘셉트를 선정, 170억원을 들여 18개 사업을 추진한다. 

태백은 산림 연계 힐링 사업을, 삼척은 유리 공방 창업 지원 및 홍보사업을, 영월은 뉴슬로시티(New Slow City) 연계 관광 기반 조성, 정선은 추리극장 조성과 야생화 및 빛의 도시 조성을 중점 과제로 선정했다.

또 폐광지역 특화산업 발굴 용역을 통해 지역 내 부존자원을 활용한 지역 맞춤형 사업을 발굴한다. 그동안 기반시설 위주로 투입된 폐광기금을 주민 소득증대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대체 산업을 비롯해 관광 트렌드 변화, 주민 고령화, 고유자원 활용 등을 통합적으로 연계한 주민참여 가능 사업을 발굴해 추진한다. 강원도가 그간 고배를 마셨던 폐광지역 활성화 정책이 실효성을 거둔다면 강원도 도약의 새로운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본 기사는 입법국정전문지 더리더(the Leader) 2월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yunis@mt.co.kr

정치/사회 기사